부산시가 낙동강 유역의 인문학적 가치를 발굴하기 위해 부산발전연구원에 ‘서부산의 인문·문화자산 발굴에 관한 연구’를 의뢰해 낙동강 유역의 역사·문화적 자원을 발굴한다고 12일 밝혔다.

이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북구, 사하구, 강서구, 사상구를 포함하는 서부산 권역이다. 연구방법은 사진·서적 등의 문헌조사, 문화재·민속 등의 현장조사, 스토리·기억 등의 구술조사 등으로 진행된다. 이는 지자체 단위의 분절적 시각을 넘어, 서부산 권역이라는 통합적 인문 문화 연계방안을 모색한다는 의미이다.

연구의 주요내용은 △문화재(지정문화재) △근대건조물(역사적 건축물, 전통가옥) △역사자산(염전, 포구, 고기잡이 등) △보호수(나무) △전통민속(동제, 당제, 후릿소리) △생활유산(서민전통, 독특한 의례) △기억자산(가문, 독립운동, 문학가, 실업가의 인물, 감동스토리) △산업유산(공장, 음식점 등)을 발굴해 수집 정리하고 발굴자산을 활용해 콘텐츠개발과 문화관광으로 활용한다는 것이다.

낙동강의 변천사를 짚어보면 1910년 이전에는 낙동강 하구권 자연생태계의 자연 활동기였고, 1930년대에 대동수문, 녹산수문, 일천식 제방과 서낙동강의 동낙동강 본류이동 등 생태계의 첫 변고가 있었다. 일제강점기를 겪어오면서 1960년대에 서낙동강 권역에 조성된 김해평야에 새로운 치수사업요구가 생겨났다.

이어 1970년부터 1990년대까지 엄궁, 하단, 신평 일원(1983), 녹산간척지(1984), 진해용원지구(1985) 사하구 공유수면(1987), 장림 다대지구(1988), 신호동 일원(1989), 명지지구, 녹산지구(1992) 등의 문화재 지정구역이 해제되면서 낙동강 하구 기수지 생태계의 큰 변화가 일게 되었다.

2000년대 이후 낙동강 특별법제정(2002), 을숙도철새공원조성사업(2005), 낙동강 둔치정비사업(2002-2010) 등 생태계 복원 및 보전관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시는 “낙동강을 배경으로 살아 온 사람들의 시공간적 삶의 궤적을 기억하고 그들이 기록한 역사, 문학, 장소, 이야기 등으로 현재를 조망하고 미래를 확장할 수 있는 의미 있는 일”이라며 “에코델타시티, 명지국제신도시, 사상스마트시티 등 대규모 개발사업 이전에 인문문화자산을 사전 발굴해 사업의 진행과정에 인문문화자산을 활용한 진정성 있는 재생형 개발의 방향을 정립하는데 의의가 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