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재야록(念齋野錄)을 집필한 조희제 선생이 2016년 1월의 독립운동가에 선정됐다고 독립기념관이 31일 밝혔다.

조 선생은 1873년 12월 10일 전북 임실군 덕치면 회문리 절골에서 조병용과 안동 김氏의 3남 1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1866년 병인양요 때 프랑스군에 맞서 의병을 준비할 만큼 애국의식이 투철했던 아버지로부터 많은 영향을 받은 조 선생은 기우만(奇宇萬) 의병장, 순절지사 송병선의 문하에서 가르침을 받으며 항일의식을 키웠다.

조 선생은 자신이 살고 있던 임실에서 의병전쟁이 치열하게 전개되자 재산을 털어 임실, 순창, 남원 등에서 활동하던 의병을 직접 도왔고, 옥고를 치르던 애국지사의 뒷바라지도 도맡았다.

조 선생의 독립운동 중 가장 중요한 활동은 염재야록의 집필·편찬이다.

잘 알려지지 않은 애국지사의 독립운동을 기록해 역사에 남겨야겠다고 결심한 조 선생은 수십년간 각지를 돌며 관련 자료를 수집했다.

이후 저술 작업을 진행해 1931년 초고를 완성했다. 책은 건(乾), 곤(坤) 두 책으로 나누어 편집, 일경의 감시를 피하기 위해 표지에는 ‘덕촌에서 그때그때 들은 이야기를 기록한다’는 뜻의 덕촌수록(德村隨錄)이라는 이름을 붙여 한 질을 마루 밑에 묻어두었다.

그러나 1938년 염재야록의 편찬 사실이 발각되자 조 선생은 임실경찰서로 연행, 고문을 당했다.

옥고를 치루고 집으로 돌아온 조 선생은 일경이 상투를 자르라고 하자 울분을 참지 못하고 1939년 1월 자결 순국했다.

광복 후 조 선생의 제자가 마루 밑에 숨겨놓은 덕촌수록 초고본을 다시 꺼내 편집, 발간하면서 염재야록은 세상에 알려질 수 있었다.

염재야록은 오늘날 독립운동사 연구에 귀중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정부는 조 선생의 공훈을 기려 1991년 건국훈장 애국장을 추서했다.

한편, 독립기념관은 조 선생의 공적을 기리고자 별도의 전시장(독립기념관 야외 특별기획전시장)을 마련하고 관련 자료를 1월 한 달간 전시할 계획이다.